만성 안정형 협심증 환자의 만성 원격 허혈성 조절 치료(초기)

블로그

홈페이지홈페이지 / 블로그 / 만성 안정형 협심증 환자의 만성 원격 허혈성 조절 치료(초기)

Jun 30, 2023

만성 안정형 협심증 환자의 만성 원격 허혈성 조절 치료(초기)

BMC Medicine 21권, 기사 번호: 324(2023) 이 기사 인용 85 액세스 1 Altmetric Metrics 세부 정보 만성 원격 허혈 조절(CRIC)이 심근 허혈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BMC Medicine 21권, 기사 번호: 324(2023) 이 기사 인용

85 액세스

1 알트메트릭

측정항목 세부정보

만성 원격 허혈 조절(CRIC)은 실험 동물 연구에서 심근 허혈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만성 안정형 협심증(CSA) 환자에 대한 효과는 조사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CSA 환자를 대상으로 6개월간 CRIC 치료의 효능과 안전성을 조사하기 위해 개념 증명 연구를 실시했습니다.

EARLY-MYO-CSA 시험은 3개월 이상 가이드라인에서 권장하는 최적의 약물 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협심증이 지속되는 CSA 환자를 대상으로 CRIC 치료를 평가한 전향적, 무작위, 대조 시험이었습니다. CRIC와 대조군은 각각 6개월 동안 CRIC(200mmHg) 또는 가짜 CRIC(60mmHg) 개입을 받았습니다. 일차 종료점은 단일 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6개월간 심근 흐름 예비력(MFR)의 변화였습니다. 2차 평가변수는 휴식 및 스트레스 심근 혈류(MBF), 캐나다 심혈관 학회(CCS) 분류에 따른 협심증 중증도, 시애틀 협심증 설문지(SAQ) 및 6분 걷기 테스트(6-MWT)의 변화였습니다.

220명의 무작위 CSA 환자 중 208명(CRIC 그룹 105명, 대조군 103명)이 치료 및 종료점 평가를 완료했습니다. MFR의 평균 변화는 CRIC 그룹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컸습니다(0.27 ± 0.38 대 - 0.04 ± 0.25; P < 0.001). MFR은 CRIC 그룹에서 기준선에서 1.33 ± 0.48에서 1.61 ± 0.53(P < 0.001)으로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대조군에서는 유사한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기준선에서 1.35 ± 0.45, 후속 조치에서 1.31 ± 0.44, P = 0.757). CRIC 치료는 대조군과 비교할 때 CCS 분류(60.0% 대 14.6%, P < 0.001), 모든 SAQ 차원 점수(P < 0.001) 및 6-MWT 거리(440[400-400-0.001)로 평가한 협심증 증상의 개선을 보여주었습니다. 523] 대 420 [330-475] m, P = 0.016). 주요 심혈관계 이상반응의 발생률은 두 그룹 간에 유사했습니다.

CSA 환자는 6개월간 CRIC 치료를 통해 MFR, 협심증 증상 및 운동 능력이 개선되는 이점을 얻습니다. 이 치료법은 내약성이 좋으며 임상 집단의 증상 완화를 위해 권장될 수 있습니다.

[chictr.org.cn], 식별자 [ChiCTR2000038649].

동료 검토 보고서

만성 안정 협심증(CSA)은 심근 흐름 예비력(MFR)이 부족하고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것이 특징인 관상동맥 심장 질환(CHD)의 일반적인 형태입니다. 약물 치료 외에도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이나 관상동맥 우회술(CABG)을 이용한 혈관 재개통술이 CSA 환자에게 널리 확립되었습니다[1]. 그러나 PCI와 CABG는 모두 원위 관상동맥 병변이 확산된 증상이 있는 CSA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현재 임상에서 협심증 완화에 대한 제한된 조치로 인해[2], 대부분의 CSA 환자는 관련 증상을 겪고 최적의 치료를 받더라도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들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이 시급히 필요하다.

주기적인 사지 허혈-재관류 노출을 통한 원격 허혈 조절(RIC)은 원격 조직과 기관을 허혈-재관류 손상에 저항하게 만드는 보호 효과를 부여합니다[3, 4]. 이전 연구에서는 내피 세포 및 관상 동맥 미세순환 기능을 개선하고 관상 혈류를 증가시키며 심근 허혈 내성에 RIC의 이점을 확인했습니다[5,6,7,8]. 메타 분석에 따르면 일차 PCI를 받는 급성 심근경색(AMI) 환자의 RIC 단일 세션은 대조군에 비해 심근경색 크기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9]. 또한, 원위 관상동맥의 관류압 및 측부 순환 흐름의 개선이 보고되었습니다. 그러나 단일 단기 RIC(5분 상완 허혈 및 재관류의 4주기)는 허혈성 관상동맥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의 휴식기 심근 혈류(MBF)를 개선하지 못했습니다[10]. 새로운 데이터는 만성 원격 허혈성 조절(CRIC)이라고 불리는 사지 RIC의 매일 반복되는 에피소드가 단일 RIC 자극에 의해 부여되는 것보다 더 큰 유익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11,12,13]. 기본 연구에 따르면 CRIC는 허혈 조직에서 혈관 신생을 촉진하고 혈관 내피 및 측부 순환 기능을 향상시키며 혈액 관류를 개선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습니다[14,15,16]. 또한, 만성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한 관찰 연구에서는 1주일 동안 RIC를 반복하면 관상동맥 혈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7]. 현재까지 CSA 환자에 대한 CRIC 사용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장기적으로 중단되지 않는 RIC가 CSA 환자의 MFR을 개선하여 협심증 증상을 완화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고 전향적, 무작위, 가짜 대조 개념 증명 시험에서 이 가설을 테스트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18 years old, (2) having CSA confirmed by angiography without complete revascularization (> 50% stenosis on angiography and the quantitative flow ratio < 0.75 for at least one main coronary artery or branches), and (3) with persistent angina pectoris after receiving ≥ 3-month guideline-recommended optimal medical therapy (the main drugs include β-blocker, calcium channel blocker (CCB), nitrates, ivabradine, trimetazidine, nicorandil, antiplatelet agents,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 (ACEI) or angiotensin receptor blocker (ARB), and statin; all enrolled patients received the recommended dose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unless contraindicated). Exclusion criteria included the following: intolerance to RIC therapy; stenosis of the left main stem ≥ 50%; pregnancy or having a plan for it; a history of arterial or venous thrombosis in upper limbs; comorbidities of severe valvular disease, congenital heart disease, severe arrhythmia, aortic dissection, aortic aneurysm, cardiomyopathy, and severe uncontrolled hypertension (defined as systolic blood pressure > 180 mmHg and/or diastolic blood pressure > 110 mmHg after taking medication); life expectancy < 1 year; malignant tumor; poor compliance to RIC;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r coronary revascularization in the past 1 year; use of glibenclamide [19]; and MFR ≥ 2.5 as determined using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p>